반응형 전체 글236 부동산시장론에서의 입지 및 공간구조론 중 지대이론 오늘은 부동산시장론에서의 입지 및 공간구조론중 지대이론중 지대이론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대이론 1.지대와 지가 ① 지대는 일정기간 동안 토지의 사요 수익에 대한 대가로서 토지소유자의 소득으로 귀속되는 임대료를 말하며, 유량개념입니다. ② 지가는 일정시점에서의 교환에 대한 토지 자체의 가격으로 저량개념입니다. ③ 영속성에 따라 지가는 장래 토지로부터 발생하는 매 기간의 지대(임대료수입)를 현재가치로 환원한 값입니다. 매 기간의 지대가 동일하고 이것이 영원히 계속된다면, 지가는 지대를 이자율로 할인한 값이 됩니다. ④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지대가 상승하면 지가는 상승하고, 이자율이 상승하면 지가는 하락합니다. 즉 지대와 지가는 비례관계이고, 이자율과 지가는 반비례관계입니다. ⑤ 투자대상을서 토지에 대한 위험.. 2023. 8. 13. 부동산시장론에서 정보의 효율성과 부동산시장의 이해 오늘은 부동산시장론에서 정보의 효율성과 부동산시장의 이해를 알아보겠습니다. 1. 효율적 시장가설 (1) 개념 효율적 시장에서 의미하는 부동산시장의 효율성은 정보의 효율성을 의미합니다. 효율적 시장은 부동산가격이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신속 정확 충분하게 반영하는 시장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① 부동산시장이 효율적이라면, 새로운 정보가 발생하면 이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동산가격에 반영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정보 효율적 시장에서는 어떠한 정보를 이용하여도 초과수익을 얻을 수 없습니다. ② 부동산각겨이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신속 정확 충분하게 반영하고 있어 그 정보로는 초과수익을 얻을 수 없다는 주장을 효율적 시장가설이라고 합니다. ③ 효율적 시장이 현실적으로 성립할 수 있는 것은 실제 부동산시장이.. 2023. 8. 12. 부동산시장론에서 바라본 주택시장, 주택서비스의 개념 및 의의 오늘은 부동산시장론에서 바라본 주택시장, 주택서비스의 개념 및 의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주택서비스의 의의 (1) 주택서비스의 개념 ① 토지가 개별성의 특성을 가지는 것처럼 주택도 물리적으로는 동일하지만 경제적 법적 성격이 달라지면 그 가격도 달라지므로, 동일한 것이 없는 이질적인 재화입니다. ② 물리적(이질적,개별적) 주택시장은 완전경쟁을 전제로 하는 이론이나 모형으로 분석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질성이 강한 주택시장을 완전경쟁 모형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용도적으로 동질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것이 주택서비스입니다. ③ 주택서비스란 주택이 소유자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효용을 의미하는데, 주택을 물리적 실체로 보지 않고 주택서비스를 제공하는 효용의 대상으로 본다면 주택도 동.. 2023. 8. 10. 부동산시장론에서 바라본 부동산시장의 특성 오늘은 부동산시장론에서 바라본 부동산시장의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1. 부동산시장의 특성 부동산시장은 일반재화시장과 달리 부동산의 불완전한 특성 때문에 고유한 시장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1) 지역시장 시장의 국지성 부동산은 부동성의 특성이 있어 지역시장, 국지적시장이 됩니다. ① 부동산시장은 부동성으로 인하여 부동산상품을 이동할 수 없으므로 지역시장별로 초과수요나 초과공급현상이 발생하여 지역간의 수급불균형이 초래됩니다. 특정지역 주택시장은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고, 또 다른 지역의 주택시장은 공급보다 수요가 더 많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② 부동산시장은 부동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시장이라는 특성을 지니게 되므로 지역의 자연적 환경과 인문적(경제적,사회적,행정적)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 2023. 8. 9. 부동산시장론에서 바라본 부동산시장 개념 오늘은 부동산시장론에서 바라본 부동산시장의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1. 부동산 시장의 개요 (1) 시장의 개념 시장은 상품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모여 거래행위가 이루어지는 특정한 장소뿐만 아니라,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관한 정보가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에 교환되어 그 상품이 매매되는 추상적인 장소까지 포함합니다. (2) 부동산시장의 개념 정리 ① 부동산시장이란 수요과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되고 결정된 가격이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즉 자원배분을 수행하는 곳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일반재화시장을 분석할 때에는 지리적인 공간을 고려하지 않지만, 부동산시장은 부동성이라는 특성에 따라 구체적인 지리적 공간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부동산시장을 부동산의 규모 양 질 위치 등의 제 측면에서 유사한.. 2023. 8. 9. 부동산 경기변동의 특징, 측정지표 오늘은 부동산경기변의 특징, 측정지표를 알아보겠습니다. 1. 부동산경기변동의 특징 ① 부동산경기는 그 타성현성으로 인하여 일반경기에 비하여 회복은 느리고 후퇴는 빠르게 진행됩니다. 즉 저점에서 정저에 이르는 기간은 길고 정점에서 저점에 이르는 기간은 짧아서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이 비대칭적입니다. ② 부동산경기순환에서 그 정점은 일반경기보다 더 높고, 지점 또한 일반경기보다 더 낮아서 경기의 진폭이 큰 편입니다. ③ 부동산경기는 지역별 유형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경기와 비교하였을때 그 저점과 정점이 엇갈려 나타나기도 합니다. ④ 부동산경기는 지역별 유형별로 가각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경기와 비교하였을 때 그 저점과 정점이 엇갈려 나타나기도 합니다. ⑤ 부동산경기변동의 양상은 지역적 국지적으로 발생한.. 2023. 8. 8.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