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및 생활정보33 부동산 경기변동의 특징, 측정지표 오늘은 부동산경기변의 특징, 측정지표를 알아보겠습니다. 1. 부동산경기변동의 특징 ① 부동산경기는 그 타성현성으로 인하여 일반경기에 비하여 회복은 느리고 후퇴는 빠르게 진행됩니다. 즉 저점에서 정저에 이르는 기간은 길고 정점에서 저점에 이르는 기간은 짧아서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이 비대칭적입니다. ② 부동산경기순환에서 그 정점은 일반경기보다 더 높고, 지점 또한 일반경기보다 더 낮아서 경기의 진폭이 큰 편입니다. ③ 부동산경기는 지역별 유형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경기와 비교하였을때 그 저점과 정점이 엇갈려 나타나기도 합니다. ④ 부동산경기는 지역별 유형별로 가각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경기와 비교하였을 때 그 저점과 정점이 엇갈려 나타나기도 합니다. ⑤ 부동산경기변동의 양상은 지역적 국지적으로 발생한.. 2023. 8. 8. 부동산경기의 순환변동 4국면과 안정시장 오늘은 부동산경기의 순환변동 4국면과 안정시장을 알아보겠습니다. 1. 부동산경기의 순환변동 4국면과 안정시장 순환변동이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변동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주택거래량이 지난 2월을 저점으로 하여 회복기에 접어들어다면 이는 순환적 변동을 의미합니다. 부동산경기순환은 상승(확장) 하강(수축)국면이 일정하지 않은 특징이 있지만, 일반경기순환처럼 회복 => 상향 => 후퇴 => 하향이 반복되는 경기 변동의 유형을 말합니다. (1) 확장국면 ①회복시장 ㄱ. 부동산경기가 하강과 침체기를 벗어나면서 경기의 저점을 지나 점차 회복국면에 접어드는 시장입니다. ㄴ. 경기회복을 위한 정부의 정책금리 인하가 그 효과를 발휘하면서 부동산거래량이 점차 늘어나게 되고, 가격 상승에 .. 2023. 8. 8. 부동산의 경기변동 부동산의 경기변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변동이란 총체적인 경제활동의 수준이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즉 일정한 규칙성을 나타내며 변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경기라는 것은 통화량 이자율 경제현상 정책 재해 질병 등의 여러 가지 경제변수들의 여향을 받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정국가나 특정지역은 고성장추세를 지속하기도 하고, 반면 다른 어떤 국가나 지역은 저성장이나 침체국면에 있도 합니다. 1. 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과 유형 (1) 부문경기로서의 부동산경기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문경기 중의 하나로, 일반경기가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부동산경기가 일반경기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즉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2023. 8. 7.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오늘의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랑을 알아보겠습니다. 1. 균형의 달성 이상적인 시장인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우하향하는 시장수요곡선과 우상향하는 시장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이 결정됩니다. 부동산시장은 개별성이 있어 불완전경쟁시장이지만, 완전경쟁시장을 가정하여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을 분석합니다. 즉 그래프를 통하여 부동산시장을 분석하다는 것은 부도산시장에 대하여 동질 적인 재화를 전재로 하는 완전경쟁시장모형을 가정한다는 것입니다. 2. 시장균형과 균형가격의 결정 (1) 균형의 개념 ① 균형이란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은 통일한 상태를 말합니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을 균형점이라 하고,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은 상태의 양을 균형거래량 균형수글럅이라 합니다. 이때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은 상태.. 2023. 8. 7. 부동산공급 개념정리 부동산공급(supply)의 개념정리를 알아보자. (1) 공급의 개념 공급이란 일정기간 동안에 생산자(공급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나 그 양을 말하여, 공급량이란 생산자(공급자)들이 주어진 가격에 대응하여 일정기간에 판매(공급)하고자 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최대수량을 말합니다. ① 공급의 사전적 개념은 공급하고자 하는 의도된 양을 의미하는 것이지 실제 판매한 양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공급도 역시 사전적 개념입니다. ② 유효공급 : 부동산을 공급할 의사와 실제적인 공급능력이 동반된 공급입니다. 따라서 누구든지 부동산의 공급자로 참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③유량 저량개념 : 부동산공급은 일정기간 동안에 측정되는 유량의 개념이지만, 일정시점에 존재하는 저량의 개념도 있습니다. ㄱ. 주택유량.. 2023. 8. 7. 부동산수요 공급의 개념의 특징 부동산수용 공급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특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부동산수요(demand) (1) 수요의 개념 수요란 일정기간 동안에 소비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나 그 양을 말하며, 수요량이란 일정기간 동안에 주어진 가격수준에 대하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최대수량을 말합니다. ① 수요의 사전적 개념은 주어진 가격수준에서 수요자들이 구매하려고 의도된 양이지 실제 구입한 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② 유효수요는 구매의사만 나타내는 성이 아니라 실질적인 구매력을 가지고 구매하고자 하는 유효수요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구매의사만 있고 구매력이 동반되지 못한 것은 잠재수요라 하는 데 금융대출금 등을 활용하면 잠재수요는 유효수요화될 수 있습니다. ③ 유량의 개념은 일정기간 동안 파악되는 유.. 2023. 8. 6.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